Linux,Fedora] 한글깨짐에 대한 해결 방법

/etc/sysconfig/i18n 들어가서 편집

1. UTF-8 모드로 운영할때

LANG="ko_KR.UTF-8"
SUPPORTED="ko_KR.UTF-8:ko_KR.eucKR:ko_KR:ko"
SYSFONT="lat0-sun16" <---여기서 lat0 의 0은 숫자0이다
SYSFONTACM="8859-15"

2. euc_KR 모드로 사용할때
LANG="ko_KR.eucKR"
SUPPORTED="ko_KR.eucKR:ko_KR:ko"
SYSFONT="lat0-sun16"
SYSFONTACM="8859-15"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의 구조

/bin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여러 명령어들도 실행파일형태로 존재한다. 이 디렉토리에서는 cp, mkdir, rmdir, mv, rm, cat 등과 같은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sbin '/sbin'은 System Binaries의 약자로서, 주로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들 (fdisk, lilo, halt, reboot 등)을 포함한다.


/etc 이 디렉토리는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 스크립트 파일이 들어 있다. 시스템 운영에 관한 중요한 파일들이기 때문에 ?불리 삭제하거나 수정하면 안되는 곳이다.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ILO를 사용한다면 이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이 1024 실린더 안에 존재하여야 한다.


/var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이다. 로그파일이나 기타 스풀링 공간이 이곳에 존재한다.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는 꼭 알아 두어야 하는 디렉토리이다.

/proc proc은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다.


/dev 리눅스를 포함한 유닉스는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 정보를 하나의 디바이스 파일로 표시하고 있다. 이 디렉토리는 이러한 디바이스 파일들을 담고 있다. 자세한 디바이스에 대한 내용은 다음장에서 다룬다.


/lib MS-Windows에서 DLL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공유라이브러리들이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home home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서 개개인의 사용자의 개인공간이 이 디렉토리에 활당된다.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되면 이 디렉토리에 사용자의 로그인명에 해당하는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몇 개의 셀 파일들이 만들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아무 지정없이 cd 명령을 치면 이 디렉토리에 들어오고, 자신의 작업 파일들을 이 디렉토리에 만들게 된다.


/root 시스템 관리자의 root의 홈 디렉토리이다. 기본적으로 root 이외에는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CD-ROM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 파티션(MS-DOS영역 등)을 리눅스에서 접근할 때 주로 이 디렉토리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mount 명령을 설명할 때 좀 더 자세히 기술하도록 하겠다.


/tmp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가 작업을 할 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 디렉토리는 모든 사용자에게 권한이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용도가 아닌 상용용도로 사용한다면 이 디렉토리를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리하기를 권장한다.아님 악의의 사용자로 인해 하드디스크 부족현상으로 시스템이 정지될 수도 있다.


/usr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로 커널 소스, C 컴파일러와 같은 개발 관련 도구들 X-Window 등 중요한 파일들과 프로그램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이다.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이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usr/bin /bin 디렉토리와 비슷한 내용으로 /bin 디렉토리에서는 시스템의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들어 있지만 /usr/bin에서는 좀 더 많은 명령어들이 실행파일 형태로 존재한다.


/usr/sbin 역시 /sbin과 비슷한 형태로 /usr/bin 디렉토리와 같이 보다 많은 시스템 명령어들이 실행파일 형태로 존재한다.


/usr/src 리눅스 커널을 포함한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의 소스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커널 재컴파일이 /usr/src/linux 디렉토리에서 컴파일을 시작한다.


/usr/X11R6 X 윈도우와 그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이다.


/usr/X11R6/bin X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실행파일들이 들어가 있는 디렉토리이다.


/usr/man man 명령으로 볼 수 있는 도움말 페이지들이 들어 있다.


/usr/doc 이 디렉토리에는 리눅스 사용중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여러가지 문서 파일들이 들어가 있다. 각종 HOWTO문서와 FAQ 등의 문서는 리눅스 문제 해결의 거의 모든 부분을 담고 있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단 거의 대부분의 문서가 영문으로 되어 있다는게 한가지 흠이긴 하다.

ZOS] 3390-3 type volume size

3339 cyls

15 trks/cyl

56832 bytes/track

==> 2,846,430,720 Bytes

DNS] 도메인 종류

*** 국내 도메인
co.kr : company korea. 기업/상업기관
or.kr : organization korea. 비영리 기관, 단체
go.kr : 정부기관
ne.kr : network korea. 네트워크 기관
re.kr : research korea. 연구기관/단체
pe.kr : personal korea. 개인
ac.kr : 대학/대학원
es.kr : 초등학교
ms.kr : 중학교
hs.kr : 고등학교
sc.kr : 기타학교
seoul.kr : 해당지역 기관, 단체 등
pusan.kr : 해당지역 기관, 단체 등

*** 국내 학교 도메인
ac.kr : academic korea (대학교)
hs.kr : high school korea (고등학교)
ms.kr : middle school korea (중학교)
es.kr : elementary school korea (초등학교)
sc.kr : School korea(기타 학교)
kg.kr : Kindergarten korea (유치원)

*** 국내 지역 도메인
seoul.kr
busan.kr
daegu.kr
incheon.kr
gwangju.kr
daejeon.kr
ulsan.kr
gyeonggi.kr
gangwon.kr
chungbuk.kr
chungnam.kr
jeonbuk.kr
jeonnam.kr
chungbuk.kr
chungnam.kr
gyeongbuk.kr
gyeongnam.kr
jeju.kr
jeonbuk.kr

*** 국제 도메인
com : company.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기관.
net : network.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
org : organization. 비영리 기관 및 단체
edu : 4년제 단과대학/종합대학
gov : 미국 연방정부기관.
mil : 미국 연방군사기관.
int : 국제적인 특성을 가진 기관(유엔 등).
info : information. 기업, 개인, 공공기관등, 모든 정보사업
biz : business.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
tv : television.
name : name.

세계국가 도메인--------------------------------
ac : 어세션아일랜드
ag : 엔티카바부다
at : 오스트리아
be : 벨기에
bz : 벨리즈
cc : 코코스 아일랜드
cn : 중국
de : 독일
eu : 유럽연합
fm : 마이크로네시아
gs : 조지아 샌드위치제도
in : 인도
io : 영국령 인도양식민지
jp : 일본
la : 라오스
md : 몰도바
ms : 몬트세라트
nu : 니우에
pl : 폴란드
sc : 세이셀
se : 스웨덴
sg : 싱가폴
sh : 세인트헬레나
tc : 터크스앤케이코스
tk : 토케라우제도
tw : 대만
us : 미국
vg : 영국령버진제도
ws : 서사모아

Linux] RPM에 관하여

리눅스 RPM 설치 명령어 리눅스
2007/03/26 19:56

http://blog.naver.com/man791212/100035752640



리눅스 RPM 설치 명령어




■ 개요




리눅스에서 일반적인 설치할 경우,

소스 파일을 통한 컴파일을 하거나 RPM 패키지 파일을 통해 설치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소스 컴파일 방식은 저와 같은 초급적인 지식으로 설치를 할 경우, 일부 에러를 나타내어

이것을 해결 할 방법을 찾아내어도 또 다른 문제점이 발견되어 그에 따른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합니다.




현재 다양한 리눅스의 종류에 맞게 미리 패키징된 프로그램을 다시 재배포하여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배포 패키지 중 대표적인 적이 RPM 패키징 파일입니다.




(설치하는 법에 대해서 간단히 비교하자면 소스 컴파일과 압축되어 있는 파일을 푸는 것의 중간 정도의 개념으로 생각하시 됩니다.)




■ RPM 설명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처음 레드헷에서 패키지의 설치 및 관리를 위해 만든 프로그램 관리자입니다.




(구성) 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예) samba-3.0.24-1.i386.rpm




- 패키지 이름 : 해당 프로그램의 이름입니다. (예) apache, kernel, samba 등

- 버전 : 패키지 개발에 따른 업데이트 마다 증가되는 번호입니다.

- 릴리즈 : 해당 제품을 패키징하는 횟수입니다. 패치 및 패키징 등을 수행할때마다 번호가 증가되며 앞서 패키징한 것들과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 아키텍처 : 최근 여러 종류의 아키텍처 제품이 나옴에 따라 이를 구분하는 명칭이다. (예) i386 / x86_64 / ppc / ia64 등




■ RPM 배포




주로 패키지를 개발하는 곳의 홈페이지에서 각 리눅스 버전에 맞게 배포를 하고 있습니다.

또는 http://www.rpmfind.net 에서 검색을 통해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




■ RPM 명령 사용방법




1. RPM 설치




- 설치 (-i)

신규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입니다.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패키지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root@wind samba]# rpm -i samba-3.0.24-1.i386.rpm




- 업그레이드 (-U)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합니다.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root@wind samba]# rpm -U samba-3.0.24-1.i386.rpm




- 부가 옵션들




--nodeps : 의존성 관계에 있는 다른 패키지가 설치 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강제로 설치합니다.




--force : 버전을 무시하고 강제로 설치합니다. (하위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root@wind samba]# rpm -U --nodeps samba-3.0.24-1.i386.rpm




일반적으론 i 보다는 U 로 업그레이드 설치를 권장하며 vh 옵션으로 설치되는 모습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root@wind samba]# rpm -Uvh samba-3.0.24-1.i386.rpm




2. RPM 제거




- 제거 (-e)

패키지를 삭제합니다.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삭제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root@wind samba]# rpm -e samba-3.0.24-1.i386.rpm




- 부가 옵션들




--test : 실제로 삭제하지 않고 삭제되는지 테스트만 합니다.




--nodeps : 의존성에 관여하지 않고 지우는 옵션입니다.

(주의! 의존성이 있는 다른 패키지의 필요한 파일들도 삭제되어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allmatches : rpm 이 중복 설치되어 있을때 해결합니다.

[root@wind samba]# rpm -e samba --allmatches




--noscript : rpm 이 스크립트 에러로 인해서 지워지지 않을때 지워줍니다.




[root@wind samba]# rpm -e samba --noscript




3. RPM 조회




- 조회 (-q)

rpm 패키지의 설치 상태 및 패키지의 구성에 대한 여러가지 조회를 할 때 사용한다.




- 패키지 설치 유무 확인 (-qa)

[root@wind samba]# rpm -qa | grep samba




-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 (-ql)

[root@wind samba]# rpm -ql samba




- 해당 파일이 포함되어 있던 패키지 목록 (-qf)

[root@wind samba]# rpm -qf /usr/bin




- /etc/ 밑에 설치 되는 설정파일만 알아 봅니다. (-qc)

[root@wind samba]# rpm -qc samba




- 패키지 일반 정보 (-qi)

[root@wind samba]# rpm -qi samba




- 아직 설치하지 않은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경우 p 옵션을 추가합니다.

[root@wind samba]# rpm -qpl samba-3.0.24-1.i386.rpm




- 패키지 목록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를 봅니다. (-qlv)

[root@wind samba]# rpm -qlv samba-3.0.24-1.i386.rpm




- 패키지 목록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를 봅니다. (-qcf)

[root@wind samba]## rpm -qcf samba-3.0.24-1.i386.rpm




- 부가 옵션




-q --requires : 패키지가 필요한 모듈 알아봅니다.




-q --whatrequires : 의존성 걸린 패키지를 알아봅니다.




-q --whatprovides module-info : 모듈이 설치 되어 있는 패키지 인지 알아봅니다.




-q --script : 패키지가 설치되기 전/후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알아봅니다.




-q --queryformat : 패키지의 정보는 알아볼떄 문자열을 출력해줍니다.

정보시스템 감리원의 자격 및 교육

- 정보시스템 감리원 자격
- 정보시스템 감리원 교육 계획
- 정보시스템 감리원 교부신청
- 감리원증 교부신청시 제출서류
- 근거법령

아래 웹페이지를 열면 위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음.

http://www.nia.or.kr/open_content/board/boardView.jsp?page=2&tn=LS_0000055&id=53670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

Ⅰ 논문이란 ?

1. 논문의 개념

논문이란 어떤 事理에 관하여 체계적, 과학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 정리한 글이다. 즉 논문은 Research Paper, Thesis Dissertation 등을 뜻하는 것이다.

2. 논문을 쓰는 자세

⑴ 내용적인 면

① 독창성 : 자기의 주장, 사상 또는 발견의 내용이 참신해야 하며, 그것이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소명 자료가 있어야 한다.

② 방증성 : 확실하고도 충분한 증거를 일정한 논리와 방법에 따라 제시하여 객관적으로 타당성이 입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객관성 : 주관적인 해석이나, 이론의 신념화를 피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기술하여야 한다.

④ 관계성 :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하고 검사하여, 그것을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논리의 연속성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⑵ 기술적인 면

① 정확성 : 내용, 기록, 자료 등 모든 분야에서 정확성은 논문의 생명이다.

② 간결성 : 불필요한 전개를 배제하고 내용 및 중심 사상이 적합한 규모로 이루어 져야 한다.

3. 논문의 종류

논문의 종류에는 article, monograph, treatise, essay dissertaion, thesis, paper, report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졸업논문은,

① 학생들이 전공 과정을 통하여 배운 과목들을 종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② 학생 스스로의 힘에 의해 연구하고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③ 본격적인 의미의 독창성을 기대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학생들이 배운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객관적으 로,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4. 제목의 선정

논제를 정할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좁게 잡아야 논문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좁히는 동시에 연구 대상의 특정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논문의 구성

1. 논문의 구성은 어떻게 하는가?

⑴ 구성

① 목차 (Contents)

② 서론 (Introduction)

③ 본론 (Main body)

④ 결론 (Conclusion)

⑤ 참고문헌 (Bibliography)

⑵ 목차 : 논문의 뼈대이며 틀이다.

예) Ⅰ

1.













2.



※ 주의: 논문에서 같은 면에 두개의 장(Chapter)가 함께 들어갈 수 없다. 즉 하나의 Chapter가 끝나면 새로이 시작하는 Chapter는 반드시 다음장에 쓰도록 해야 한다.(여기에서 Chapter란 위의 Ⅰ,Ⅱ,Ⅲ 등을 가르킨다)

2. 논문 구성의 기본 형식

서론부 : 문제를 제기하고,

본론부 : 제기된 문제들을 논증하며,

결론부 : 본론부에서 논증한 내용이나 결과를 토대로 서론부에서 제기했던 문제들에 대한 판단을 내리고 논문을 매듭짓는다.

서론, 본론, 결론으로 이어지는 이 삼단 구성의 각 부분 사이에는 서로간의 논리상의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3. 각 부분의 내용

⑴ 서론부

① 연구의 주제가 어떤 성질의 것이며, 이것이 지니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먼저 밝힌다. 주제가 어떤 학문 분야(예:한국의 산업정치)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이며, 그 논제를 택하여 연구하게 된 동기나 이유가 명백하게 천명되어야 한다.

② 연구의 목적을 밝힌다. 논문 작성에 앞서 목적의식을 뚜렷하게 가져야 한다.

③ 연구 주제와 관계되는 이론적 배경이나 연구 상황, 또는 설정된 가설 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④ 연구의 범위와 한계를 미리 밝혀 둔다. 범위와 한계를 밝히는 데는 부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⑤ 연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⑥ 서론부에서 위의 내용들을 밝히는데 있어서 주의할 점은 장황한 설명을 피하고 간결하고 잘 다듬어진 문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⑵ 본론부

논문의 몸통에 해당하는 중심, 핵심 부분이다. 서론에서 명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제기된 문제들을 한정된 범위 내에서 특정연구방법에 따라 본격적으로 정리, 분석, 설명, 평가하는 논리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① 연구의 주제, 범위, 구성의 방법을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전개.

② 수집된 자료의 효과적인 구사

③ 통계적 자료, 도표, 수표 등은 문장으로써 개요나 요점을 설명

④ 연구 과정의 구체적인 전개 과정이나 자세한 방법론의 논의를 제시하고 결과의 자료나 해석의 논의

⑤ 작성시 연구 결과를 인용할 때 소정의 방법에 따른 정확한 출처를 밝힌다.

⑥ 전개시 먼저 개괄적인 것에서 세부적, 구체적으로 파고들며, 핵심적 줄거리나 본질적 부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⑶ 결론부

논문의 마무리 부분으로 서론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본론에서 논의 후, 연구 결과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논리적 귀결이다.

① 본론의 연구․논의 중 중요한 결과를 지적, 판단을 내린다.

② 본론 전체를 요약하여 결론을 맺는다.

③ 다루지 못한 과제, 전망, 방향 제시 등을 한다.

④ 요약은 핵심적이어야 하며, 결론은 연구논문의 열매라 생각하고 간명하면서도 논리적으로 알찬 것이 되어야 한다.

※ 논문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론부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서론에서 언급된 이론 및 방법으로 서론에서 언급된 범위만큼 연구되어지며, 서론에서 밝힌 목적에 대한 결론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즉, 서론부에서부터 본론부를 거쳐 결론부에 이르는 논리가 명확해야 한다.

4. 문장 표현

⑴ 정확성

① 문자 표현이 문법적으로 정확하여야 한다.

② 단어, 특히 학술적 용어나 술어의 사용이 정확해야 하고 적절하여야 한다.

③ 논리적으로 정연한 문장이어야 한다.

⑵ 간결성

① 논문의 문체로는 간결체와 건조체가 적합하다.

② 지나칠 정도로 비슷한 말을 반복하거나 불필요한 부연이나 중복을 피한다.

⑶ 통일성

① 하나의 문장은 길이와 관계없이 하나의 중심 화제로 이루어지도록 통일성을 지녀야 한다.

② 논문 전체적으로 문체를 통일하여야 한다.

③ 자주 사용하는 낱말이나 문구의 표현 방법도 통일성을 지녀야 한다.

⑷ 평이성

① 문장의 정확성, 간결성 및 통일성은 평이성을 위한 1차적 요건들이다.

② 지나친 외래어나 한자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Ⅲ 인용(Quotation)

1. 인용문 기입이란?

인용문이란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남의 글이 꼭 필요할 때 따오는 것을 말한다.

2. 인용시 유의 사항

⑴ 주제에 맞는 인용할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자료여야 한다.

⑵ 합리적으로 조화시켜야 한다.

⑶ 인용의 근거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⑷ 근거는 인용 자가 직접 입수, 확인한 것이어야 한다.

⑸ 인용문은 되도록 짧게 한다.

3. 직접 인용

3행이상이 되는 긴 인용 문구는 줄을 바꾸고 인용문 전체를 좌우로 4칸의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좌우 모두 2칸의 간격을 두며, 작은 글씨로 적는다.

4. 간접 인용

남의 글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본인의 말로 바꾸어 인용하는 것을 말한다.

Ⅳ 각주(Foot Note)

1. 각주의 목적

⑴ 증거 자료의 정당성을 밝히기 위하여 널리 알려지지 못한 사실에 대한 모든 중요한 서술은 그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에 의하여 뒷받침되어야 한다.

⑵ 참고로한 사실을 밝히기 위하여 중요한 사실의 언급, 인용 등 다른 저자로부터 차용한 추론에 대해서는 각주를 달아야 한다. 이는 직접 인용은 물론 간접 인용도 마찬가지이다.

⑶ 본문에서 다루기 곤란한 문제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2. 각주의 종류

⑴ 참조주

① 인용 참고한 자료의 출처를 밝힘으로써 논지의 정당성, 입증의 정확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 즉 방증을 목적으로 한다.

② 참고한 자료, 참고한 남의 이론이나 주장에 대하여 출처를 밝히는 것은 또한 독자에 대한 봉사, 그리고 원저자에 대한 예의의 표현이다.

⑵ 내용주

본문의 내용을 부연할 때 이것을 따로 떼어 내어 설명하는데 사용한다. 불필요한 내용주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3. 각주번호

참고 부분이 끝나는 부분에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예) ․․․․․․하였다는 것이다.1)

․․․․․․할 수 있을 것이다."1)

․․․․․․그럴 수가 있다.'1)

'공정으로서의 정의'1)에 의하면

4. 첫번째 주(완전주)

⑴ 단행본

각주 기입의 기본적인 사항을 순서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 저자, [서명:부제] (출판도시:출판사, 년도), p.인용페이지.

① 저자, 편자 또는 역자의 이름

저자가 복수일 때 3인까지는 전부 기재하고 4인 이상일 경우에는 표제지에 열거된 맨 처음 저자만을 적고, 동양인명이면 '등', '외3명' 등으로 표기하고 서양인이면 'et al.'을 붙여서 단독저서가 아님을 표기한다.

② 편저일 경우

저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하나 이름뒤에 국문인 경우 編, 영문인 경우는 (ed.)를 삽입하여 편저임을 표기한다.(영문의 편저자가 2인이상일 경우는 eds.임)

③ 역저일 경우

원저자 이름 다음에 슬래쉬(/)로 표기하고 역자를 표기한다.

Giovani Sartori/이행 譯, [민주주의론의 재조명]

④ 서명

- 단행본의 서명은 표제에 있는 대로 적을 것.

-서명에 부제가 있을 때에는 주제 다음에 콜른(:)을 찍고 부제를 쓸것.

- 서명은 꺽음표([])를 사용한다.

⑤ 업서명과 권수

여러 권으로 된 업서(Series)인 경우에는 서명 다음에 콤마(,)를 찍고 업서명을 표시한다(반드시 표기할 필요는 없음). 업서명 다음에는 그 책이 차지하는 권이나 호를 붙인다.

⑥ 판차

초판(1st ed.)이 아닌 경우에는 판차를 서명에 적는다.

⑦ 출판사항

(출판도시:출판사, 년도)순으로 적고 괄호로 묶는다.

⑧ 인용한 페이지 표시

-한면만 이용한 경우: p.13과 같이 표기하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

-두 페이지 이상을 인용한 경우에는 pp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에서 21페이지까지 인용한 경우에 pp.20f.로 표기하는 방법도 있으나 가급적 pp.20-21.과 같이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⑨ 인용한 책이 2권 이상일 경우 세미콜른(;)을 계속하여 쓴다.

(예: 홍길동, [정치학] (서울:길동출판사, 1994), p.11; 전우치, [한국정치] (서울:정치사, 1994), pp.140-145.

⑩ 주로 한권을 주로 인용하고 다른 여러가지 책을 부차적으로 인용하는 경우에는 앞에 주로 인용한 책명을 표기하고 뒤에 부차적인 참고서적을 열거한다.

(예1: 이연걸, [한국민주주의론] (서울:민주사, 1994), pp.111 -112; 참조, 이극찬, [정치학] (서울:법문사, 1994), p.111; 한승주, [정치경제학] (서울:서울사, 1994), p. 117.

⑵ 논문집 및 여러 논문을 편집한 단행본

논문집 및 여러 논문을 편집한 단행본에서 특정한 논문 만을 인용할 경우의 기본적인 기입 순서는 다음과 같다.

논문의 저자, "논문명:부제", 편저자 ed., [논문집 혹은 서명] (출판도시:출판사, 출판년도), 인용페이지.

(예: 박지숙, "한국권위주의 연구", 김기옥 편, [한국학] (서울:한국사, 1994), p.1170.

그러나 정간물의 경우에는 편저자를 생략할 수 있다.

(예: 박한얼, "한국의 정치부패", [한국정치학회보], 제23호 (서울:한국정치학회, 1993), p.115.

기타의 경우에는 단행본의 예에 따른다.

⑶ 영문의 경우

이름을 앞에 성을 뒤에 기록하고 서명은 이텔릭체(ithelic)로 표기한다.

(예: G. Sartori, Eqeul and Sameness (L.A.:California Univ. Pr., 1994), p.1.

⑷ 잡지 및 신문의 경우

잡지 저자 및 출판사의 이름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신문의 경우에 있어서는 저자, 출판사, 페이지를 생략할 수 있다.

예) [한겨례신문], 8월 18일자.

예) Time, July 21, 1994.

예) [말], 1994년 8월호, p.123.

5. 반복주(간편주)

반복주라 함은 이미 앞의 주에서 언급한 각주에 등장한 문헌들을 알아볼 수 있는 한 최소한도로 간편화 하는 것을 뜻한다.

⑴ 연속된(바로 앞에서 언급한) 문헌과 동일한 경우

① 단행본의 경우

저자, 서명 등 모든 것을 생략하고 앞의 책과 동일하다는 사실과 인용한 페이지만을 밝힌다.

예1): (주3) 박한얼, [한국정치론] (서울:한얼사, 1994), p. 120.

(주4) [앞의 책], p.127.(인용한 페이지는 다른 경우)

(주4) [앞의 책]. (인용한 페이지도 동일한 경우)

예2): (주3) 박한얼, [한국정치론] (서울:한얼사, 1994), p. 120.

(주4) Ibid., p.127. (인용한 페이지가 다른 경우)

(주4) Ibid. (인용한 페이지도 동일한 경우)

※ 이 경우 예1)은 우리말 식으로 예2)는 영문식으로 표기한 것인데, 예1)과 같이 우리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② 논문의 경우

논문은 [앞의 책]이라는 표현 대신에 "앞의 글"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1): (주4) "앞의 글", p.127.

⑵ 연속되지 않은 경우

이 경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논문 전체적으로 동일한 저자의 저서를 한권만 인용한 경우와 두권 이상인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두권 이상인 경우 그 저서들이 모두 출판년도가 다를 경우와 동일한 출판년도일 경우도 세붑해서 표기하여야 한다.

① 한권인 경우

저자와 인용한 페이지만을 표기한다.

예) 박한얼, [앞의 책], p.127.(국문서적의 경우)

예) 박한얼, op. cit., p.127.(영문서적의 경우)

*. 즉 바로 앞의 책을 연속 인용하는 경우에는 ibid를 그렇지 않고 앞에서 인용한 경우(예: 앞의 주 이전에서 인용한 경우)는 op. cit.를 쓰는 것이 원칙이나 ibid로 써도 상관없다.

② 두권 이상이고 출판년도가 모두 다른 경우

저자, 출판년도, 그리고 인용한 페이지를 표기한다(예를 들어 1994년에 출간된 [한국정치론]과 1993년에 출간된 [한국산업정치]라는 책이 있을 경우

예1) 박한얼, [앞의 책] (1993), p.127.([한국산업정치]를 인용한 경우)

예2) 박한얼, [앞의 책] (1994), p.100.([한국정치론]을 인용한 경우)

※ 이 경우 출판년도를 서명 앞에 두는 경우도 있다.

③ 두권 이상이고 동일한 출판년도가 있는 경우

저자, 서명, 그리고 인용한 페이지를 표기한다.

예) 박한얼, [한국의 권위주의], p.110.

6. 설명 및 인용을 겸하는 주

아래와 같이 설명과 인용을 겸하여 각각의 이론의 대표자들과 그 출처를 밝힌다.

예) 정치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하여는 '정비례설', '무관설', 그리고 '반비례설'이 있다. '정비례설'은, 박한얼, [정치와 경제] (서울:한얼사, 1994), p.127, '무관설'은 조덕팔, [정치, 그리고 경제] (서울:덕팔사, 1994), pp.127-129, 그리고 '반비례설'은 김종팔, [정치는 정치, 경제는 경제] (서울:종팔사, 1994), p.129를 각각 참고할 것.

Ⅴ 참고문헌(Bibriography)

참고문헌은 논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흔이 학사논문의 경우 목차와 서론, 그리고 참고문헌만 보면 그 논문을 평가할 수 있다고들 하는데 이는 논문을 작성하는데 그 주제와 서론에서 밝힌 내용들에 적합한 문헌을 참고하였는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을 작성하는데 있어서는 특별한 예외가 없는 한 각주에 열거된 서적만으로 작성한다. 또한 작성하는데 주의 할 점은 단행본, 논문, 잡지 및 신문의 세가지 항복으로 나누어 작성하며, 국문을 앞에 외국문헌을 뒤에 위치시키며, 저자별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또한 저자와 서명 뒤에는 '마침표(.)'로 표기하고 출판사항의 괄호를 풀고 인용한 페이지는 적지 않는다.

1. 국문의 경우

⑴ 단행본(서명을 이중 꺽음표({})로 표기한다.

각주 예) 박한얼, [한국의 산업정치] (서울:한얼사, 1992) 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의 산업정치}. 서울:한얼사, 1992.

⑵ 논문

① 학술지 게제 논문(논문명을 꺽음표([])로 표기하고 논문집 명(서명)을 이중 꺽음표({})로 표기한다.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법문사, 1997), p.11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법문사, 1997.

② 편저자와 논문의 저자가 다른 경우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김종팔 편, [한국정치론] (서울:법문사, 1997), 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김종팔 편. {한국정치론}. 서울:법문사, 1997.

③ 학위논문의 경우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멍대:석사논문, 1994), 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멍대:석사논문, 1994.

⑶ 잡지 및 신문

① 신문(3편를 기준으로 3편 미만인 경우는 일자를 열거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맨 앞의 일자만을 표기하고 "외 X편"로 표기한다.

각주 예) [한겨레신문] 1994년 8월 15일자.

참고문헌) {한겨레신문}. 1994년 8월 15일자, 1994년 9월 6일자. (3편 미만)

[한겨레신문], 1994년 8월 15일자외 2편. (3편 이상)

② 잡지(3편를 기준으로 3편 미만인 경우는 일자를 열거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맨 앞의 일자만을 표기하고 "외 X편"로 표기한다.

각주 예) [말] 1994년 8월호, p.170.

참고문헌) {말}. 1994년 8월호, 1994년 10월호. (3편 미만)

{말}. 1994년 8월호외 2편. (3편 이상)

2. 영문인 경우

영문의 경우에는 저자에 있어서 성과 이름의 위치를 바꾼다. 즉 우리말과 같이 성을 앞에 이름을 뒤에 위치시키며, 각주에서 First Name을 약자로 표기한 것을 되도록이면 Full Name으로 표기한다(그러나 약자도 무방함).

⑴ 단행본

각주 예) K. Marx, Capital (N.Y.:Cambridge Univ. Pr., 1990), p.117.

참고문헌) Mark, Karl. Capital. N.Y.:Cambridge Univ. Pr., 1990.

⑵ 논문

① 학술지

각주 예) Jean-Francois, Lyotard,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Political Theory. (Wisconsin:The Univ. of Wisconsin Pr., 1983), pp.13-14.

참고문헌) Lyotard, Jean-Francois.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Political Theory. Wisconsin:The Univ. of Wisconsin Pr., 1983.

② 편저(논문의 저자는 우리식으로 편저자는 서양식으로 표기한다, 다만 편저자 다음에 (ed.)를 붙여서 편저임을 표기한다)

각주 예) Jean-Francois, Lyotard,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I. Hassan(ed.) Political Theory. (N.Y.: New York Univ. Pr., 1983), pp.13-14.

참고문헌) Lyotard, Jean-Francois.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I. Hassan(ed.) Political Theory. N.Y.: New York Univ. Pr., 1983.

* 논문의 경우 그 논문을 포함하고 있는 단행본 또는 학술지 명을 in 으로 표기하여 줌이 원칙이다.

③ 신문 및 잡지는 국문과 동일한 식으로 표기하되 월-일, 년도순으로 표기한다.

각주 예) Time, July 19, 1994, p.12.

참고문헌) Time, July 19, 1994.

Ⅵ 워드프로세서로 논문 작성하기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아래한글 2.x]을 기준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본문

⑴ 용지 = A4

⑵ 여백주기

① 위 쪽: 20

② 아래쪽: 20

③ 왼 쪽: 25

④ 오른쪽: 25

⑤ 머리말: 15

⑥ 꼬리말: 15

⑶ 문단모양

① 왼쪽여백: 0

② 오른여백: 0

③ 들여쓰기: 0

④ 줄 간 격: 170-180

⑤ 문 단 위: 0

⑥ 문단아래: 0

⑦ 낱말간격: 0

⑧ 정렬방식: 혼합

⑷ 글 크기 = 11

⑸ 각주의 글 크기 = 10

2. 각주

⑴ 문단모양

① 왼쪽여백: 4

② 오른여백: 0

③ 들여쓰기: -4

④ 줄 간 격: 125-130

⑤ 문 단 위: 0

⑥ 문단아래: 0

⑦ 낱말간격: 0

⑧ 정렬방식: 혼합

⑵ 각주기재 요령

① 1-9번까지의 1단위 번호

각주에서 번호를 한 칸 뒤로 밀고 괄호를 치고 한 칸 띄우고 각주를 입력한다.

② 10번 이후의 번호

각주에서 번호를 뒤로 한 칸 밀지 않고 괄호를 치고 한 칸 띄우고 각주를 입력한다.

3. 각 제목의 크기

보통 제목의 수를 세 가지로 분류하여 기록할 경우

Ⅰ. 한국의 미래 (20호)

1. 오늘과 내일 (15호)

⑴ 오늘 (12호)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

- 민주화가 산업화에 미친 영향 -

-----------------------------------------

법 학 과

홍 길 동

한 국 대 학 교

------------------------------------------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

- 민주화가 산업화에 미친 영향 -

------------------------------------------

이 논문을 법학학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지도교수 0 0 0 (인)

2000. 9. .

법 학 과




홍길동

한 국 대 학 교

목 차

Ⅰ. 서 론 ..............................1

Ⅱ. 지방자치의 의미와 정치제도화 ...........5

1. 지방자치의 의미 ............................10

2. 지방자치의 정치제도화 ....................11

Ⅲ. 한국 중앙집권화의 문제점 ...............13

1. 한국 중앙집권화의 배경 .....................15

2. 한국 중앙집권화의 성격 .....................18

3. 한국 중앙집권화의 문제점 ...................20

Ⅳ. 지방자치제 정착을 위한 조건 ...........25

1. 정치적. 사회적 조건 ...........................27

2. 제도적. 운영적 조건 ..........................29

Ⅴ. 한국의 민주주의적 지방의회 선거구제도 ....30

Ⅵ. 결 론 .............................33

□ 참 고 문 헌 ...........................35

--------------------------------------------------------

먼저 [하버마스(Jurgen Habermas)]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계몽주의․합리주의의 미완성 프로젝트를 제거하려는 음모"라고 비판한다. 그는 모더니즘의 반대자들을 보수주의자로 규정하고 이를 다시 [청년보수주의자들(모더니즘에 대한 반대자들;antimodernism)], [장년보수주의자들(모더니즘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는 자들; premodernism)] 그리고 [신보수주의자들(후기모더니즘을 인정하는 자들;postmodernism)]로 나누어 비판한다.




이와는 달리 [리오따드(Jean-Francois Lyotard)]는 하버마스의 앞서의 주장을 반박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발생상태에 있는 모더니즘이지 최후에 도달한 모더니즘이 아니며, 모더니즘 안에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 그자체로 나타내는 것이이고 새로운 표현을 쁹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임무라 강조한다.




[안드레아스 후이센(Andeas Huyssen)]은 "포스트모더니즘이 비록 짜증스러운 것이라 할 지라도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것이 우리의 문제거리이자 희망"이라 결론짓고, 그것이 나갈 4가지 방향에 대해서 언급하는데, ① 서국제국주의와 무절제한 근대화에 반대하는 투쟁, ② 여권운동, ③ 생태학과 환경보존 문제 그리고 ④ 비서구권문화에 대한 지배나 정복이 아닌 새로운 접근이 그것이다.




이 밖에도 [테리 이글턴(Terry Eagleton)]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이 잘못결합된 문화현상'아라고 이해하고, '새로운 혁명적 예술 혹은 문화가 포스트모더니즘처럼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의 교훈으로 얻어져야 하지만 그것이 탈정치적인 방식으로 결합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을 비정치적.비역사적인 것'이라 배척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자본주의의 지배적인 '문화적 우세




--------------------------------------------------------




□ 참 고 문 헌

Ⅰ 단 행 본

1. 국내서적(또는 국문)

김기우. {정치발전이론: 정치발전 모델의 분석적 비판}. 서울:박영사, 1986.

김장권. {정당정치, 지방자치의 발전과 시민사회} 서울:한국사회학회, 1992.

박문옥. {한국정부론}. 서울:신천사, 1990.

손재식. {현대 지방행정론}. 서울:양우사, 1971.

2. 번역서적(국문과 같이 쓸 수도 있다)

Sartori G./이행(역). {민주주의 이론의 재조명 Ⅰ}. 서울:인간사랑, 1990.

3. 외국서적(또는 "영문"으로 쓰기도 함)

Huyssen, Andeas. Crisis of Modernity. Colorado:Westview Pr., 1986.

Ⅱ 논 문

1. 국내논문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법문사, 1997.

2. 외국논문

Lyotard, Jean-Francois.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I. Hassan(ed.) Political Theory. N.Y.: New York Univ. Pr., 1983.

출처 : [기타] 인터넷 : 한잡부

HTTP code ( error & status )

100 : Continue
101 : Switching protocols
200 : OK, 에러없이 전송 성공
201 : Created, POST 명령 실행 및 성공
202 : Accepted, 서버가 클라이언트 명령을 받음
203 : Non-authoritative information,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구 중 일부 만 전송
204 : No content, 클라언트 요구을 처리했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205 : Reset content
206 : Partial content
300 : Multiple choices, 최근에 옮겨진 데이터를 요청
301 :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된 임시 URL에서 찾았음
302 : Moved temporarily, 요구한 데이터가 변경된 URL에 있음을 명시
303 : See other,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음
304 : Not modified
305 : Use proxy
400 : Bad request,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으로 처리할 수 없음
401 : Unauthorized, 클라이언트의 인증 실패
402 : Payment required, 예약됨
403 : Forbidden, 접근이 거부된 문서를 요청함
404 : Not found, 문서를 찾을 수 없음
405 : Method not allowed, 리소스를 허용안함
406 : Not acceptable, 허용할 수 없음
407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프록시 인증 필요
408 : Request timeout, 요청시간이 지남
409 : Conflict
410 : Gone,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411 : Length required
412 : Precondition failed, 전체조건 실패
413 : Request entity too large,
414 : Request-URI too long, URL이 너무 김
415 : Unsupported media type
500 : Internal server error, 내부서버 오류(잘못된 스크립트 실행시)
501 : Not implemented,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가 수행할 수 없는 행동을 요구함
502 : Bad gateway, 서버의 과부하 상태
503 : Service unavailable,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현재 멈춤 상태
504 : Gateway timeout
505 : HTTP version not supported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구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계층 구조는 7계층으로 되어있다.



1. Physical (=물리 계층)
- 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비트들을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송.

2.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 비트들이 물리계층을 통과하면 데이터블록을 형성하는데, 이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전송을 담당
-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간에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담당.
.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인식하는 동기화 문제
. 발생된 오류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오류문제
. 혼선 제어문제

3.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보이지 않는 논리적인 링크를 구성
- 데이터를 패킷(packet)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한 후 조립함
- 패킷 전송의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 제공

4. Transport (=전송 계층)
- 사용자와 사용자, 컴퓨터와 컴퓨터간에 연결을 확립하고 유지
- 송수신 시스템간의 논리적인 안정과 균일한 서비스 제공
- 세션 계층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세그먼트(segment) 단위로 분할하고 번호를 붙임
- 오류 검출 코드를 추가하고 통신 흐름 제어를 제공

5. Session (=세션 계층)
- 세션을 확립하여 순차적인 대화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동기화 기능 제공
- 데이터 전송 방향 결정
※ session : 사용자가 접속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한 쌍으로 연결하는 작업

6. Presentation (=표현 계층)
-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다루는 계층
-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이나, 데이터 암호화 기능 제공
- 상이한 데이터 표현을 서로 가능케 하는 표준인터페이스 제공

7. Application (=응용 계층)
- 사용자의 응용 PㆍG(Program)이 네트워크 환경에 접근하는 창구역할을 하는 최상위 계층


OSI 7계층은 크게 하위계층과 상위계층으로 나눈다.
*상위계층(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하위계층(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출처 :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 네이버 지식iN)

TCP/IP란

TCP/IP 가 나타난 이유는 컴퓨터간 "통신"을 위해서 이다.
통신을 얘기할때 빠지지 않는것이 통신의 역사인데 - 언어, 북, 연기, 전화 ... - 여기에서는 그러한 "통신"을 위한 도구의 변천사는 생략하겠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TCP/IP 는 가장최근에 나타난 컴퓨터와 컴퓨터를 통한 지역네트웍(LAN) 혹은 광역네트웍(WAN)간의 원할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규약(Protocol)" 이라고 생각하면 될것이다.

최초 미국방성에서 구축한 ARANET 라는 프로토콜에서 시작되었으며, 후에 미국방위통신청(DAC-Defense Communication Agency)에서 컴퓨터간 통신을 위해서 TCP/IP를 사용하도록 한것이 그 시초가 되었다.

TCP/IP가 인기를 구가하게 된건 인터넷의 등장이 그 결정적인 역활을 했으며, 가장 인기있는 인터넷 서비스인 "WWW", "EMAIL", "TELNET", "FTP" 등 대부분이 TCP/IP 기반에서 만들어져있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와 통신을 위해서 TCP/IP를 선택한 이유는 그 개방성에 있는데, 즉 하드웨어, 운영체제, 접속매체에 관계없이 동작할수 있다는점때문에, 인터넷 통신을 위한 핵심으로 선택되었다. 현재는 수천만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다.

TCP/IP 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TCP/IP 는 TCP + IP 의 2개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는데, 통상 IP 프로토콜 위에 TCP 프로토콜이 놓이게 되므로 TCP/IP 라고 부르게 되었다.
IP - node(단말기)와 node 간의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node 에 주소를 필요로 하는데(우편번호 같은) IP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주소번호를 사용하여서 각각의 node 를 구분하고, 목적지를 찾아가게 된다. 우리는 이를 IP 넘버라고 하며, "192.168.100.100" 의 형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IP 는 Internet Protocol 의 줄임말이다.

숫자로된 인터넷주소를 위어서 원하는 컴퓨터를 식별하는건, 그리 쉽지 않기 때문에, IP주소를 인간이 식별하기 쉬운 Domain 네임으로 변환시켜주는 Name 서비스가 존재한다. 아무래도 www.yahoo.co.kr 이 211.234,109.2 이런것 보다는 외기가 수월할것이다.

TCP -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타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데이타는 네트웍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뀌어서 전달될수 있는데, TCP는 손실을 검색해내서, 이를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할수 있도록 해준다.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의 줄임말이다.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타전송을 위한 연결을 만듦으로 연결지향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LAN 과 WAN 그리고 TCP/IP

흔히 LAN 은 Local Area Network 의 줄임말로 우리나라 말로 풀어쓰자면 "지역내트웍(근거리 통신망)" 이며 WAN 은 Wide Area Network 의 줄임말로 "광역네트웍(원거리 통신망)" 으로 해석할수 있을것이다.

즉 LAN 은 지역적으로 가까운 컴퓨터가 서로 연결(Network)된 상태를 말하며 WAN은 지역적으로 멀리떨어진 컴퓨터가 서로 연결 된 상태를 말한다.

다음의 그림은 이러한 LAN과 WAN의 구성을 보여주는 가장 단적인 그림이다.
+-------+ +-------+ +-------+ +-------+ +-------+ +-------+
| HOST1 | | HOST2 | | HOST3 | | HOST1 | | HOST2 | | HOST3 |
+-------+ +-------+ +-------+ +-------+ +-------+ +-------+
| | | | | |
| | | | | |
=============================== ===============================
LAN (Korea) | | LAN (Japan)
| |
+--------+ +--------+
| Router |---------| Router |
+--------+ +--------+

HOST 와 HOST 그리고 HOST 와 Router 는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품질을 가지는 네트웍연결 회선으로 연결될수 있다(광케이블, 구리선, 인공위성등...). 통화품질이 다르다는 것은 데이타를 보내는중 데이타 손상이 일어날수도 있으며, 데이타의 순서가 뒤바뀔수도 있다는걸 의미한다.

데이타의 순서가 뒤바뀔수 있는 이유는, 패킷이 전달되는데 하나의 고정된 전달 경로만을 이용하지 않고 임의의 경로를 사용하기 때문인데, 위에서 말했듯이 각경로를 구성하는 회선의 품질이 다르므로, 먼저 보내어진 패킷이라도 나중에 보내어진 패킷보다 더 느리게 도착할수 있기 때문이다.(구리선으로 전달되는 패킷은 인공위성이나 광케이블로 전달된 패킷보다 아무래도 느리게 움직일 것이다.) TCP/IP는 이러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올바른 통신을 하도록 도와준다.

정확히 말하자면 TCP가 올바른 통신을 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IP는 이러한 기능없이 오로지 TCP 패킷을 전송하는 일만을 한다.
올바른 통신을 위해 TCP가 가지고 있는 기능은 "패킷이 빠졌을경우,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패킷에 일련번호를 줌으로써, 패킷의 순서를 재조하하는 기능" 이다.

UDP와 TCP

위에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TCP 프로토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TCP외에 UDP 라는 프로토콜 존재한다.

데이타를 전송한다는 점에서 TCP, UDP 모두 비슷하지만 특성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UDP 는 User Datagram Protocol 의 줄임말이다.

TCP - 연결지향이며, 자체적으로 오류를 처리하며, 네트웍 전송중 순서가 뒤바뀐 메시지를 교정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연결지향이란말은 데이타를 전송하는 측과 데이타를 전송받는 측에서 전용의 데이타 전송 선로(Session)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데이타의 신뢰도가 중요하다고 판단될때 주로 사용된다.

UDP - 비연결지향이며, 오류를 처리하거나 순서를 재조합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않다. 단순히 데이타를 받거나, 던져주기만 하는 프로토콜이다. UDP는 특히 실시간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

TCP를 실시간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할경우 TCP의 오류정정 특성상 메시지가 도착하지 않거나 할경우 다음 메시지를 받지 않고, 메시지 재전송을 요구하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기에는 그리 적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UDP를 사용하면 중간에 패킷이 소실되더라도 개의치 않고 다음 패킷을 받아들이므로 실시간으로 메시지 처리가 가능하다.

물론 약간의 데이타 손실로 인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질이 떨어질수도 있으나, 화질이나 음질에 약간의 손상이 있더라도 계속적으로 서비스가 되는게 훨씬더 유리할것이다.
전화를 하는데, 약간 잡음이 섞인다고 해서, 잡은 정정하기 위해서 서로 통화를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면 안되는것과 같은 이치이다.

여기에서는 주로 TCP 에 대해서 다룰것이며, UDP는 필요할경우 약간식 부연설명하도록 하겠다.

어떻게 TCP/IP 를 이용해서 컴퓨터간 데이타 통신이 가능한가?
지금까지 TCP/IP 그리고 UDP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살펴봤는데,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렇다면, 각 컴퓨터간을 연결해주는 이더넷 카드를 통해서 어떻게 TCP/IP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일까 ?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OSI 7 계층(Layer)"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OSI 는 각종 시스템간의 연결을 위하여 ISO 에서 제안한 모델로써,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에서 유추할수 있듯이, 시스템에 상관없이 서로의 시스템이 연결될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모델이다.

OSI 는 아래와 같이 7개의 계층으로 되어 있다.

+---------------------+
| Application Layer |
+---------------------+
| Presentation Layer |
+---------------------+
| Session Layer |
+---------------------+
| Transport Layer |
+---------------------+
| Network Layer |
+---------------------+
| Data Link Layer |
+---------------------+
| Physical Layer |
+---------------------+


컴퓨터와 컴퓨터사이의 데이타전송을 위해서는 위의 7개의 계층을 "직-간접적" 으로 거쳐서 전송이 되게 된다.

위와 같이 7개의 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각 계층에 대한 캡술화와 은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캡슐화, 은닉에 대해서는 아마도 C++ 을 공부해 본적이 있다면 많이 들어본 개념일건데,
예를들어 서비스 개발자는 Application Layer 와 Prsentation Layer 만 신경쓰면 되며, 실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Session Layer 와 Transport Layer 정도만 신경쓰면 될것이다. Network Layer 계층 아래로는 거의 신경쓸 필요가 없을것이다. 마찬가지로 하드웨어를 만드는 사람은 Physical Layer 만 신경쓰면 되며, 그위의 계층에 대해서는 신경쓸필요가 없을것이다.(물론 개발자가 Application Layer 와 Presentation Layer 까지 몽땅 신경써서 개발하는 경우도 있지만 - 사실은 거의 대부분이겠지만)

OSI를 이렇듯 계층별로 나눔으로써, 각 계층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개발자들이 신경쓰게 되고 통신서비스 개발시간을 줄일수 있도록 도와준다.
OSI 7 계층과 TCP/IP 4계층
TCP/IP 게층은 OSI 7계층을 더 단순화 시켜서 4개의 계층(Layer)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OSI 7 계층 TCP/IP 4 계층
+---------------------+ +---------------------+
| Application Layer | | Application Layer |
+---------------------+ | |
| Presentation Layer | | |
+---------------------+ +---------------------+
| Session Layer | | Transport Layer |
+---------------------+ | |
| Transport Layer | | |
+---------------------+ +---------------------+
| Network Layer | | Internet Layer |
+---------------------+ | |
| Data Link Layer | | |
+---------------------+ +---------------------+
| Physical Layer | | Physical Layer |
+---------------------+ +---------------------+

1) Application Layer
이 계층은 네트웍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FTP, Telnet, SMTP) 등으로 이루어지며, OSI 계층의 Aplication Layer 와 Presentation Layer 를 모두 포함한다.

2) Transport Layer
계층의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도착을 원하는 시스템까지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일을 하는 게층이다. OSI 모델의 Session Layer 과 Transport Layer 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시스템을 연결하고, TC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한다.

3) Internet Layer
데이타를 정의하고 데이타의 경로를 배정하는일(라우팅)을 담당한다. 데이타를 정확히 라우팅 하기 위해서 IP프로토콜을 사용한다. OSI 의 Network Layer 과 Data Link Layer 를 포함한다.

4) Physical Layer
물리적 계층 즉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드웨어를 말한다.


TCP/IP 4계층에 의한 데이타 전송
그럼 실제로 TCP/IP 4계층을 이용해서 어떻게 데이타가 전송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아래는 이러한 계층 통신의 가장 단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인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중 하나인 WWW 을 예를 들어 그림을 그려 보았다.

+----------+ HTTP Protocol +----------+
| Browser | <- - - - - - - - - - - - - -> | Server | Application Layer
+----------+ +----------+
↓↑ ↓↑
+----------+ TCP protocol +----------+
| TCP | <- - - - - - - - - - - - - -> | TCP | Transport Layer
+----------+ +----------+
↓↑ ↓↑
+----------+ IP protocol +----------+
| IP | <- - - - - - - - - - - - - -> | IP | Internet Layer
+----------+ +----------+
↓↑ ↓↑
+----------+ Ethernet Protocol +----------+
| Etnernet | <- - - - - - - - - - - - - -> | Etnernet | Physical Layer
+----------+ +----------+
↓↑ ↓↑
=========================================================
TCP/IP 패킷
INTERNET

WWW (World Wide Web)은 더이상 설멍이 필요없는 유명한 서비스로써, HTTP (HyperText Transfor Protocol)이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위의 그림을 설명해 보자면, 일단 사용자는 Mozilla 나 IE 같은 브라우저를 사용하여서 www.joinc.co.kr 같은 URL 입력을 통해서 웹페이지를 요청하게 될것이다.(www.joinc.co.kr 은 인간이 인식할수 있는 도메인명이고 Name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것을 다시 IP 주소체계로 바꾸는 작업을 브라우저 내부적으로 하게 될것이다.)

그럼 사용자의 요청(문자 메시지가 될것이다)은 인터넷상에서 전달되기 용이한 패킷으로 만들기 위해서 TCP 패킷으로 만들어지게 될것이다.

이것은 다시 인터넷 상에서 원하는 주소로 이동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IP 패킷으로 다시 만들어 지고(IP 패킷에는 자신의 주소와, 도착해야될 상대방의 주소정보가 들어있을것이다)
이것은 이더넷 카드로 보내어져서 Internet 으로 나가게 된다.

Internet 상에서는 원하는 주소로 TCP/IP 패킷을 보내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들이 존재하는데(라우터, 토큰링 같은), 이들 장치를 통해서, www.joinc.co.kr 의 이더넷카드로 TCP/IP 패킷이 전달되게 된다.

그럼 이더넷 카드는 TCP/IP 패킷을 바로 윗 계층(Internet Layer)으로 보내는데, 여기에서는 IP 패킷을 분석해서, 이 패킷이 어디에서 왔으며, 그 도착지가 어디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물론 이는 IP주소 기반으로 판단한다)

그리하여 목적지가 자신이면 이것을 다시 Transport Layer 로 보내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시지가 누락된게 있으면 다시 요청하고, 순서를 재조합하는등 통신 메시지를 검사해서 이것을 다시 Application Layer 에게 보낸다

Application Layer 에서는 웹서버(IIS, Apache 같은)가 통신메시지를 HTTP 프로토콜에 준하여, 검사를 하여서 사용자가 요청한 웹페이지를 읽어들여서, Transport 계층으로 보내게 된다.

웹페이지를 브라우저까지 전송하는 과정은 위의 정반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최종적으로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를 받아서(text) 역시 HTTP 프로토콜에 준하여, 렌더링 작업을 거친후 화면에 뿌려주게 된다.

위의 그림에서 보면 알겠지만 각각의 계층은 각각의 계층만을 상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즉 Application Layer 에 위치하는 브라우저와 webserver 는 HTTP 프로토콜에 의해서 자신의 계층끼리만 통신을 하고, Transport Layer 은 역시 TCP 프로토콜에 의해서 Transport Layer 끼리 통시을 함을 알수 있을것이다.

말그대로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각 계층은 대응되는 상대편의 계층에 대해서만 상관한다.

연결지향 이란 무엇인가?

TCP는 UDP와 달리 연결지향이라고 배웠었다. 그렇다면 연결지향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것일까?
우리는 바로 위에서 TCP/IP 에 의해서 데이타가 어떻게 전송되어지는지를 알아봤는데, 데이타가 전송되기전에, Browser 와 Server 간의 연결을 성립하는 과정이 데이타를 전송하는 과정전에 이루어지게 된다.

연결을 만드는 과정은 이를테면 우리가 전화할때 어떤내용을 말하기에 앞서서, "안녕하세요 ?" "누구누구씨 맞아요" "아내 저 누구누구 맞습니다"라고 상대편을 먼저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이다.

즉 데이타가 전송되기 전에, 먼저 Browser 는 Server 에 "서버 잘있읍니까?" 라고 메시지를 보내고, Server 는 다시 Browser 에게 "서버 준비되어 있으니, 데이타 보내시요" 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Browser 는 다시 서버에게 "네, 그럼 지금부터 데이타를 보내겠습니다" 라고 서로 의 존재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후, 정식 데이타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선로를 개설하게 된다. (통신선로를 하나 만들기 위해서는 3번의 데이타 전송이 일어나게 되므로, 이것을 세번악수 기법(Three handshake) 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모든 정식데이타는 연결된 통신선로를 통해서 교환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TCP를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UDP 는 이러한 과정이 없이 단순히 데이타만을 전송함으로 "데이타 그램"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이상 TCP/IP 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읍니다.
위의 내용은 제가 대학원에서 배우는 강의 내용을 공부도 할겸, 복습도 할겸 해서 만든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내용은 강의순서와 비슷하게 구성될겁니다.
다음 번엔 TCP/IP에 대한 좀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광대역 네트워크' - 네이버 지식iN)